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문으로 바로가기

청렴자료실

청탁금지법 문의

청렴포털은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로 향하는 나침반이 되겠습니다.

청탁금지법 외부강의 해당 문의

  • 작성일2021/04/22 17:29
  • 기관명국민권익위원회
  • 조회수1,476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지자체에 시경찰위원회가 구성되었습니다.

시경찰위원회에서도 감사권한이 있어 감사할때마다 지방경찰청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합동감사 하면서
감사자문을 받으며 감사자문 수당을 지급하려고 하는데요(1회 50,000원)

이게 외부강의의 자문에 해당되는지요 ?

물론 지급대상 경찰관들은 해당 감사업무와 관련이 있는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입니다.

청탁금지제도과 2021-05-26
안녕하세요? 국민권익위원회 청탁금지제도과입니다.

가. 청탁금지법 제10조제1항에 따르면, 공직자등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되거나 그 지위·직책 등에서 유래되는 사실상의 영향력을 통하여 요청받은 교육·홍보·토론회·세미나·공청회 또는 그 밖의 회의 등에서 한 강의·강연·기고 등(이하 "외부강의등"이라 한다)의 대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사례금을 받아서는 안됩니다. 또한, 청탁금지법 제10조제2항에 따르면, 공직자등은 사례금을 받는 외부강의등을 할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외부강의등의 요청 명세 등을 소속기관장에게 그 외부강의등을 마친 날부터 10일 이내에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하나, 외부강의등을 요청한 자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 위 외부강의등의 형태는 교육·홍보·토론회·세미나·공청회 또는 그 밖의 회의 등에서 한 강의·강연·기고 등인데, 강의·강연은 일정한 주제에 대해 설명하여 가르치는 것 등으로 교육·홍보·토론회·세미나·공청회와 같이 ‘다수인을 대상으로 의견·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이거나, 여럿이 모여 의견·정보등을 교환하는 ‘회의형태’인 경우이며, 기고는 신문·잡지 등에 싣기 위하여 외부의 요청에 따라 원고를 써서 보내는 것입니다.

- 사안에서 감사자문이 ‘다수인을 대상으로 의견·지식을 전달하는 형태’ 또는 ‘회의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등 위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청탁금지법상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한편, 외부강의등에 해당하더라도 요청하는 기관이 지방자치단체 소속 시·도경찰위원회가 요청한 경우라면 신고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단,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례금 상한액을 준수해야 합니다.

나.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청탁금지법 제8조의 일반 금품등 수수 금지 규정으로 규율되는 바, 청탁금지법 제8조제3항제3호에서 “사적 거래(증여는 제외한다)로 인한 채무의 이행 등 정당한 권원(權原)에 의하여 제공되는 금품등”을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자문에 대한 정당한 대가는 법 제8조제3항제3호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등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다. 다른 법령 또는 기관 내부 규정 등에 따라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신고를 요구하는 등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을 수 있으니 이에 대하여는 별도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본 회신의 내용은 추후 새로운 사실관계 등이 고려될 경우 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TOP